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 – 비타민 B1 결핍으로 인한 기억력 장애 및 방향 감각 상실

by eunui7178 2025. 4. 16.

비타민 관련 사진

목차

  1.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이란?
  2.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3. 원인 및 위험 요인
  4. 진단과 치료 방법
  5. 요약정리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이란?

  •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ndrome)**은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뇌 기능 장애로, 초기 급성기인 **베르니케 뇌병증(Wernicke’s Encephalopathy)**과 만성기인 **코르사코프 증후군(Korsakoff Syndrome)**이 함께 나타나는 중추신경계의 심각한 퇴행성 질환입니다.

주로 만성 알코올 중독자에게서 많이 발생하지만, 영양 결핍, 위장 수술 후유증, 거식증, 암 치료 후 등 다양한 원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비가역적인 뇌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인식과 대응이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증상과 임상적 특징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급성기 증상만성기 증상으로 나뉘며, 두 증상이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베르니케 뇌병증 (급성기)

  • 혼란(confusion): 멍한 상태, 사고력 저하
  • 안구 운동 장애: 눈 떨림, 복시, 외안근 마비
  • 운동 실조(ataxia): 보행 장애, 균형 유지 불가
  • 진행되면 혼수 또는 사망 가능
  • 치료 지연 시 → 코르사코프 증후군으로 이행

2. 코르사코프 증후군 (만성기)

  • 기억 장애: 특히 단기 기억력 상실이 두드러짐
  • 작화증(confabulation): 기억의 공백을 허구의 이야기로 채움
  • 시간, 장소, 사람 인식 장애
  • 학습능력 저하, 집중력 감퇴
  • 감정 변화: 무감정, 과민, 우울

이러한 증상은 뇌의 시상(thalamus)유두체(mammillary body) 손상과 관련이 깊으며, 대뇌 피질 위축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원인 및 위험 요인

1. 비타민 B1(티아민) 결핍

  • 티아민은 당 대사와 신경전달물질 생성에 필수적인 비타민
  • 결핍되면 신경세포의 에너지 대사 장애 → 세포 사멸

2. 주요 위험 요인

  • 만성 음주: 티아민 흡수 및 저장 장애
  • 영양 결핍: 노인, 거식증 환자, 만성 질환자
  • 위장 수술 이력: 위우회술, 위절제술 후 흡수 장애
  • 암 치료, 화학요법
  • 투석 환자, HIV/AIDS 환자 등 대사 소모 증가 상태

 

 

진단과 치료 방법

진단 방법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임상 진단이 핵심이며, 영상검사와 혈액검사로 보조합니다.

1. 임상 증상 확인

  • 혼란 + 안구 운동 장애 + 운동 실조 → 베르니케 3대 증상
  • 기억 장애 + 작화증 → 코르사코프 증후군 판단

2. MRI 뇌 영상

  • 유두체, 시상, 제3뇌실 주변 부위 고신호 확인
  • 대뇌 위축 소견

3. 혈중 티아민 농도

  • 낮은 티아민 수치 확인
  • 단, 수치는 정상일 수도 있음 → 증상이 더 중요

치료 방법

조기 치료가 예후를 좌우합니다. 치료가 늦으면 뇌 손상이 비가역적으로 진행됩니다.

1. 티아민 보충

  • 고용량 티아민 정맥주사
  • (예: 500mg IV 하루 23회, 23일간 유지 후 감량)
  • 경구 티아민 보충 병행

2. 영양 지원

  • 전해질, 포도당, 비타민 보충
  • 반드시 티아민 보충 후 포도당 투여 (티아민 없이 포도당 먼저 투여 시 상태 악화 가능)

3. 금주 및 생활 습관 교정

  • 금주 프로그램, 영양 재활, 보호자 교육
  • 일부는 장기 요양 및 재활 서비스 필요

4. 인지 및 심리치료

  • 코르사코프 증후군 진행 시
  • 작업치료, 기억 훈련, 감정 조절 교육

 

 

요약정리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비타민 B1(티아민)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급성 뇌병증(베르니케)과 만성 기억장애(코르사코프)**가 복합된 희귀 신경 질환입니다. 주로 만성 음주, 영양결핍 환자에게서 나타나며, 혼란, 기억력 상실, 작화증, 안구 운동 장애 등이 주요 증상입니다. 티아민 보충과 영양 개선이 핵심 치료법이며, 조기 치료가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