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그리셀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 주요 증상과 발병 시기
- 원인 및 발생 메커니즘
- 진단 및 치료 방법
- 요약정리
그리셀 증후군이란 무엇인가?
- *그리셀 증후군(Grisel’s Syndrome)**은 **상기도 감염(감기, 편도염 등) 또는 수술(편도절제술 등) 후에 경추(목뼈) 관절이 불안정해지며, 1~2번 경추 사이의 아탈구(subluxation)**가 발생하는 희귀 근골격계 질환입니다.
정상적인 경우 상부 경추는 단단한 인대 구조로 안정성이 유지되지만, 염증이 인대에 영향을 주게 되면 경추가 비정상적으로 회전되거나 위치가 어긋나며, 그 결과 심한 목 통증, 목의 기울어짐(사경), 운동 제한이 나타나게 됩니다.
소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조기 진단 시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지만, 진단이 늦어지면 신경 손상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과 발병 시기
그리셀 증후군의 증상은 상기도 감염 또는 편도선 수술 직후 수일 내에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경부 통증
- 목 움직일 때 심한 통증
- 한쪽으로 머리를 기울이고 반대편으로 턱이 돌아감 (사경, Torticollis)
- 자세를 바꾸거나 눕는 것조차 어려울 수 있음
2. 운동 제한
- 고개를 돌리거나 숙이기 어려움
- 경추 회전 운동 제한, 눈동자만 움직이며 고개는 고정됨
3. 전신 증상
- 발열, 두통, 전신 권태감
- 일부에서는 상기도 감염 증상(기침, 콧물, 인후통) 선행
4. 신경학적 증상 (진행된 경우)
- 팔 저림, 근력 약화, 감각 저하
- 심한 경우 척수 압박에 따른 마비 증상 발생 가능
- 그러나 대부분은 비신경학적 증상이 우세
원인 및 발생 메커니즘
1. 발생 원인
- 상기도 감염 (예: 편도염, 인두염, 중이염)
- 두경부 수술 (특히 편도절제술, 아데노이드 제거술)
- 외상이나 과도한 목 움직임
- 면역력 저하 또는 인대 이완이 심한 소아
2. 병태생리
- 감염 또는 염증 → 상부 경추 인대에 염증성 변화 유발
- 특히 C1(환추)과 C2(축추) 사이의 횡인대(transverse ligament)에 느슨함 발생
- 결과적으로 C1이 비정상적으로 회전하거나 부분 탈구됨
3. 소아에서 흔한 이유
- 경추 인대가 더 유연하고 해부학적 구조가 미성숙
- 면역 반응이 과도해 염증이 퍼질 가능성 높음
진단 및 치료 방법
1. 진단
병력 청취
- 최근 감기, 편도선염, 수술력 확인
- 머리 기울임이나 경부 통증 시 강력히 의심
신체 진찰
- 사경(Torticollis) 확인
- 경추 움직임 제한, 신경학적 이상 유무
영상 검사
- 경추 단순 X-ray: 경추 배열 확인
- CT (컴퓨터 단층촬영): C1-C2 아탈구 정확한 위치 확인
- MRI: 인대염, 연부조직 염증, 척수 압박 여부 평가
필딩 분류(Fielding Classification)
등급 특징 안정성 여부
I형 | 회전만 있음 | 안정성 높음 |
II형 | 경한 아탈구 동반 | 보존적 치료 가능 |
III형 | 중증 아탈구 | 불안정, 수술 고려 |
IV형 | 후방 탈구 | 심각, 신경 압박 우려 |
2. 치료 전략
보존적 치료 (조기 발견 시 대부분 가능)
- 경부 안정화(Collar 또는 Minerva brace)
- 항염증제(NSAIDs) 또는 항생제 병용
- 침상 안정과 경부 휴식 유지
- 물리치료: 증상 완화 후 점진적 시작
수술적 치료 (심한 불안정, 신경증상 동반 시)
- 경추 유합술(C1-C2 fusion)
- 감압 수술: 척수 압박 있는 경우
- 수술 후 최소 6~8주 경부 고정 필요
요약정리
- *그리셀 증후군(Grisel’s Syndrome)**은 상기도 감염 또는 두경부 수술 이후 경추 C1-C2 사이의 불안정성이 생겨 아탈구가 발생하는 희귀 질환으로, 목의 기울어짐(사경), 심한 통증, 운동 제한을 유발합니다. 대부분 소아에서 발생하며, 조기 진단 시 보존적 치료로 완전 회복 가능합니다. 그러나 진단이 지연되거나 신경증상이 동반될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어, 의심 증상이 보이면 빠른 영상검사가 중요합니다.